학습자 중심의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분석1
<화법과 작문에 대해서>
학습자 중심의 분석이란?
‘문제가 이런 유형이다’, ‘문제의답은 이렇게 찾을 수 있다’는 해설은 문제중심의 해설이라고 생각합니다.학습자가 문제를 대하기 전에 어떤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지, 어떤 능력이 있을 때 문제를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지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문제-문제해결 중심의 해설을 축구로 말하자면, ‘우즈베키스탄에게는 4-4-2 전술이나 4-3-3 전술이 먹힐거다’라는 말이고, 피부관리로 말하면 ‘지금 네 피부는 경락마사지나 필링 시술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 중심의 해설은, ‘너희 팀이 전술로써 4-4-2를 선택하고 싶다면 팀의 수비형 미드필더가좀 더 피지컬을 키우도록 해야 해’라든지, ‘다음주에 필링시술을 받기 전까지 클린징을 열심히 해 둬(맞는지 모릅니다)’라는식입니다.
2017학년도 수능 화법 작문
화작문은 문학, 비문학의 차이가 있습니다. 화법과 작문은 말하기와 글쓰기의 표현 방식에 초점을 맞춥니다. 문제에서내용을 언급하더라도, 표현을 준비하는 과정이나 표현으로 청자(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언급합니다. 그래서 중요한것은 발표, 토론 등의 내용이 아니라 발표 내용이 어떤 기능을 하느냐,어떤 방식으로 발언하느냐 입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발표, 토론, 대화, 글 등의 올바른 모델을 마음속에 담아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모델을 제시문과 대조하여 제시문이 적절한 말하기 또는 글쓰기의 방식을 갖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느냐입니다.
아래 한 연예인의 반성문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우리는 반성문을대할 때 실제로 일어난 일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반성문 단독으로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반성문을 내놓은사람의 행실, 일어난 사건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합니다. 그렇게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지금은 그런 것을 내려놓고 반성문만을 보면서,‘반성’의 취지를 충족하기에 충분한 ‘반성’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려고 해봅시다. 사실 우리는 자꾸 ‘이 사람이 누군데, 뭘 했는데’라고하면서 반성문 외의 정보를 얻고 싶어합니다. 그러기를 멈추고 반성문만을 가지고 평가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시험문제에서 ‘다음은학생의 발표이다’라고 하면, 그 학생이 누군지 알아야 잘했는지 아닌지 알텐데 이런 생각은 안하지요?)
먼저 반성문을 읽어보세요.(실제로 쓴 그대로 줄바꾸기를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000입니다.
이렇게 소중하고 뜻깊은 날에 저의 실수로 인해 많은
분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이러한
실수로 인해 많은 분들께 실망을 안겨드린 제 자신이
많이 부끄럽고,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제가
한 행동이나 글들이 많은 분들께 보여지고 있음을
명심하고, 이러한 일이 없도록 항상 신중히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저의 부족함으로 큰 실망을 드려 죄송합니다.
충분히 반성한 것 같나요? 그런 것처럼 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누구의 반성문이고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대해 아는 것을 모두 버리고, 반성문을 평가했을 때 ‘그런것 같다’는 마음이 든다면 아마도 ‘죄송합니다, 반성합니다, 노력하겠습니다’라는내용이 들어가 있어서일 것입니다.
하지만 반성하는 것 같지 않다고 한다면 뭔가 ‘충분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아서일 것입니다. 바로 이 느낌, ‘제대로 된 반성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즉 반성이라고 할 수있는 기준(반성의 모델)이 되는 무엇, 무엇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평가자(독자)의 마음에 있어서 그것과 대조를 한 것입니다.
적절한 반성의 모델은 ‘문제가 된 자신의 행동을 특정하고, 그것이 타인에게 슬픔, 고통, 피해등의 원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타인이 겪은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적절한 감정이 있으며, 앞으로의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선택할지에 대한 계획 등이 들어가야 한다’고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반성의 모델을 기준으로 하면 위 반성문을 평가하기가 쉽습니다. 그렇지않고서는 평가를 내리기 어렵고, “잘한 건가? 못한 건가? 잘한 것 같은데 뭘 잘했다고 해야 하지?”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비문학 문제를 풀기 위해 ‘적절한 비문학 글의 모델’에 대해서 '지식적으로' 알아야할 필요성은 크지 않습니다. 이것이 화작문 문제와 비문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차이점입니다.
그러므로 화작문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출제되는 말하기 유형(발표, 토론, 대화 등)과 쓰기 유형(혹은 과정)의 바른 모델을 잘 정리해 두기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목이 재밌긴함 0
사실 ㅈ목 해본 적 없음
-
단면화하고 삼각비 적절하게 쓰니까 30번이 쓱쓱 풀리는데 ㄹㅇ 본인한테 잘 맞기만...
-
왜지?
-
지들끼리 대화도 되는데 어케 막너 이걸 ㄲㄲ
-
믿는다 으흐흐흐
-
ㅈ목이 싫으면 2
본인이 안하면 되는거지 (솔칙히 오르비까지 와서 ㅈ목이라는 단어를 쓰기도 좀...
-
유아 과외 어떰 5
5세정도 남자아이 파닉스 공부시키기 어떰? 이건 좀 아닌가
-
“현역 25수능 1틀”
-
부계 이름이 ㅈㄴ 천박한데 여초과에서 이 이름을 쓰면 안될것같음…….
-
1. 요루시카 프사를 단다
-
야뎁충 개꼬움<<첫글 주제
-
유명해지는법 5
1. 뻘글을 0.5게시물/분으로 09시~24시 동안 쓴다 2. 평가원 및 사설...
-
자기가 수특 3회독하겠다고해서 그럴바에 기출 3회독하고 n제 하라고했는데 내가 맞는거지??
-
어디가 나을까요..원래 서성한자연에서 전자공 복전 생각하고 있었는데 시립이 학비도...
-
응애
-
급합니다 ㅠㅠㅠㅠㅠ
-
쪽지로 하는 게 나음 굳이 글로 닉언하면서 올리지 말구
-
기출분석, n제 벅벅, 실모 양치기, 오답 분석 등등 2등급에서 1등급으로...
-
나라도 달아줘야지 아무도 관심을 안 줌 …
-
[소개] (모두 현장 응시)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 5등급 2022학년도...
-
이전까지 나를 똥싸개빙구로만 알던 사람들이 나 취급하는게 달라지더라
-
내생각임
-
근데도 매번 내글에 댓글 달던 사람이 아직도 기억남 그때는 은테였지... 그게 내가...
-
아이묭-아침이 싫어
-
김은양 6
김은양
-
재릅 불법임뇨? 7
그런가용
-
고3 탐구 선택 0
07현역입니다. 작년에 과중반이었다가 썰린 후 사탐런을 했는데, 사문은 재밌는데,...
-
검은화면으로 무슨 에러라 뜨거나 404 어쩌구 막 뜨는게 요즘 늘어난거같아요 ㅠㅠ...
-
학교 다닐땐 걍 빨리 졸업하고싶다 이 생각뿐이었는데 막상 졸업할때되니까 너무 아쉽다...
-
왜 내글은 다 씹고 넘어가냐 댓글좀 달아라 제발
-
하루종일 뻘글써서 랭킹 상위권 먹고 칼럼 가끔씩 써주면서 메인 몇번 가면 웬만하면...
-
사람이 배운게 없으면 글 3줄만 써도 밑천이 드러나더라 내가 키배 뜨고 다니면서 깨달은 바임
-
사실저재르비임 0
(아님)
-
- 팔로잉/팔로워, 그에 따른 '테' 라는 매우 명확한 프로필의 변화 - 화폐처럼...
-
맞팔하실분 0
구합니다잉
-
그게 가면일지 원래 그런진 모르지만 그래도 타 커뮤처럼 난장판은 아님 격식이 있음 확실히
-
똥글 싸니까 놀아주더라 그러니까 다들 열심히 똥싸
-
오르비가 그래두 6
구조상 다 고닉이고 새르비도 보이는 사람만 보이는데 쪽지 기능까지 잇고 옯스타도...
-
금강과 외뱃
-
심심할때마다 들어와서 뻘글 쓰고 나가는데 병먹금 안하고 댓글 잘 달아줌
-
뱅기 얼마정도 나왔음? 3박4일가려는데 뱅기만 50인데 정상임?
-
에휴
-
수치…ㅋㅋㅋ 0
문재 문제 오타 지금 발견함 ㅋㅋㅋㅋㅋㅋㅋ
-
현역입니다 수시로 설대랑 지방의대 쓸거라 과탐해야되는데 물생 맞다고 보시나요...
-
내친구가 그거했다고 자랑하던데 칭찬해줘야댐?? 수학임
-
막 대놓고 닉네임 부르고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만 메타가 굴러가는것만 안하면 됨.....
-
비참해짐 저능하다고 까이지도않는 내 대학이 정말 저능한것아닌가
-
근데 너무 심하게는 하지 말자는거지
-
오르비+주변 현역 정시 의대때매 사실 체감이 잘 안됐는데 애들 좀 만나니까 잘본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