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경제 둘다 해보신분
둘의 체감 난이도
타임어택정도
비교좀 해주실수잇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하 선택하고 싶은데 표점 때문에 미적하는 사람 있나요 7
순수 재미는 기하가 Goat인데 선배들이 기하는 하지 말라함..
-
난 왜 못할까요 3
수학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국어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과탐을 잘하는것도 아니고...
-
인피니티 워부터 쭉 안 봄...
-
레어 팔아요 4
정시파이터,사나이클럽 팔아요
-
김재훈: 정말 작품 이해에 치중된 사람, 들으면 머릿속에!가 뜸 유대종: 문풀에...
-
다른 과목은 다 대체 선생님 찾았는데.. 내신 생명만은 대체할 분이 없는 것...
-
2차부터가 문제엿다 인싸애들: 선배 저희 술게임 알려주세요!!!!! 사건의 시작.
-
목표변경
-
1. 언매 개념은 한 적 있음 (올인원 2번 정도) 2. 완벽한 암기는 안됨 3....
-
제가 강평 커리 타고 있거든요? 근데 논리학 지문만 나오면 많이 틀리고고나중에 로행...
-
온라인 접수 할 때.. 뭐 준비해여하나요? ㅈㄴ 복잡함…
-
삼수생 새터가도됨??? 10
아싸찐따삼수생이 3일동안 인싸현역조졸무리에 어떻게끼어있지
-
응..... 안갈래 또 이상한 술게임 시킬까봐
-
술 추천 리스트 16
가난한 대학생인 관계로 소주 맥주만 추천해드려요 소주 -> 거부감 없이 마시고...
-
품사, 문장성분, 어미의 종류, 동사 형용사 구분법, 품사 구분법, 단모음표,...
-
독서 기준 하나만 할 수 있다면 어느 걸 추천하시나요?
-
나만 그런가
-
고1말에 이어플러그끼고 수학푸는데 우연히 옆에 봤더니 내옆에있던친구가 묘하게...
-
맛있다 1
헤헤
-
직업만족도 순위에서 교사가 꽤 상위권에 위치해있고 의사나 의료계열 직군들이 낮은...
-
연애
-
놀다 노래를 부르며 노니까
-
가려면 어느 과목에서 몇 개 틀려야하나유?
-
새피한번도안해봄 3
같이할사람이없음
-
작년에 오르새쌤 풀커리 타고 올해 스블듣고 있는데 개념 설명이나 기출풀이 방식이...
-
기분 센치하네
-
시대 단과다니고 있고 6평 전까지 풀만한거 추천좀
-
Jot됨씨발
-
추천좀
-
현역 수능 때 35253 맞고 재수, 삼수해서 실패와 좌절(22수능)을 맛보고...
-
3병까진 ㄱㅊ
-
ㅇㅇ이런거 있음?
-
선생님께서 복습을 굉장히 강조하시던데 복습을 얼마나 해야하나요 문제 보자마자 아...
-
진학사 점공은 10등까지만 업데이트 해주셨고 제 분석상으로는 12-14 사이에서...
-
레전드백수 ㅇㅈ 3
이사람은 6시간 자는거 빼고 하루종일 폰하나요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진로는 진짜 존나 역함
-
커트라인 640 초중반일것 같은데 1칸합도 나오겠네요
-
인스타지워야겟다 10
거울보는데 현타존나오네
-
ㅈㄱㄴ 나 빼고ㅓ 친해지는거 아냐:?? 심찬우 조발 조기 서강 노크 대가대 로스쿨 현우진 시대인재
-
주량 7
두병 두병넘어가면 말실수함
-
물론 난 콜라가 좋다.
-
사실 굉장히 피곤하긴 한데 해야 할게 남아 있어서요 몇시까지 있을까요?
-
아아먹고싶은데 0
얼음이 없네 ㅜ
-
술 마시고 싶다 0
그렇지만 참기로 했다
-
걍 문제 몇 개 골라서 풀어주고 풀라고 시키면 되나? 문제집 그대로 들고가면...
-
윗 사람들이 빠질 일이 없어서 슬프도다
-
pdf나 종이책 다들 어디서 어떻게 저렴하게 구매하시는지..
제가 정법러였어서
비교좀해보고싶네요
사문 경제하신 분들도 부탁드림다
아 사문vs경제요? 아님 어떻게용
둘다영
경제가 타임어택 젤 심해용
난이도도 경제가...
뭐랄까 정법은 풀땐 음 그런가 싶은데 채점할때 많이 틀려서 당황스러운 과목이라면 경제는 풀땐 계산이나 케이스 고려시키면서 힘들게 만들지만 채점할땐 그래도 나쁘지 않은 과목?
시간 자체는 경제가 더 빡빡할수뱎에 없죠
고마어용
경제정법러입니당
개념난이도는 정법>>경제인데 어차피 사탐이라 둘다 할만하구요
시험은 둘 다 다른 방식으로 어려운데 요즘 기조의 경제는 준킬러의 향연인지라 타임어택이 ㅈ된다는 게 어려움의 주된 이유일 것 같구요 정법에서도 변별용 문제는 개념을 깊게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게 종종 나와요
정보처리능력이 빠르다면 경제가,개념을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다면 정법이 더 쉬울 것 같네요
타임어택을 개념은 어느정도 준비되었지만 자료해석과 계산때문에 걸리는 시간압박의 정도라고 정의한다면
경제는 간단한 숫자 대입, 직선 그래프 평행이동, 수 추론 등 때문에 사탐 중엔 제일 빡빡해요 5분 이상 안남았어요 전(좀 꼼꼼하고 우직하게 풀어서 그렇긴해요, 스킬 체화 잘된 분들은 더 빨리하시더라고요)
정법은 타임어택의 대명사가 선거였지만, 24학년도부터 계산이 줄어서 길어도 4분 내에 다 풀 수 있어요
이젠 다른 문제에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순 있는데 아마, 헌법재판소 문제, 정부유형 문제 25수능 보시면 꽤 장황한 자료긴 해요..
그래도 기본 개념이 탄탄하면 자료가 길던 어떻든 다 풀어낼 수 있어서 저도 정법은 모르는 문제 한 문제 빼고 6~7분 남았던것같아요
즉, 윗분이 써주신것처럼 정법은 개념을 단단히 해두면 누군가에겐 타임어택이 될 자료를 타임어택이 아니게 할 수 있고
경제는 분명 타임어택형 자료가 존재하지만, 유형화된 풀이를 잘 익혀두시면 타임어택의 강도를 줄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