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금 시기에 해놓으면 좋을 것들 (ft. 26 커리큘럼)
국어는 수학이나 탐구 과목에 비해
사전적으로 학습해두어야 할 지식의 양이 현저히 적습니다.
그러나 <지식의 양이 별로 없으니까, 사전 준비 없이
그냥 많은 문제를 풀면서 '귀납적'으로만 학습하겠다!>
라고 생각하시면 오산입니다.
이는 마치
수영하는 방법이나 기본기를 전혀 배우지 않고
물에 뛰어 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선천적으로 운동 신경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물에 떠서 어느 정도 헤엄을 칠 수 있겠으나
그게 아닌 경우에는 그냥 익사(...)하게 될 거거든요.
일단 어느정도 최소한의 필수 지식 체계는 갖추어 두고
문제 풀이에 돌입해야 쭉쭉 실력을 늘려나갈 수 있어요.
필수 지식 체계를 공부하기
가장 좋은 시기가 바로 겨울방학 시즌인 12~2월입니다.
나중에 잡으려고 하면 오히려 필요 없는 공부처럼 느껴져서
잘 안 하게 되거든요.
아싸리 깔끔하게 정리해두면
이후의 국어 공부를 조금은 더 수월하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필수 지식에는 무엇이 있느냐?
저는 다음의 사항들을 말합니다.
1. 필수 고전시가 작품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전시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채로, 수험생활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언젠가 해야 하는데, 해야 하는데 하면서 미루다가 수험생활이 끝나죠.
사실 수능특강이 나온 시점 이후부터는 고전시가는 따로 필수 작품 학습이 쉽지 않습니다.
연계교재에 수록된 작품 학습하느라 바쁠 거거든요.
그러나 미리 고전시가 필수 작품을 공부해둔다면,
수능에 출제되는 비연계 고전시가 대비도 되고,
무엇보다 연계 작품 학습을 할 때의 효율을 훨씬 끌어올릴 수 있을 거예요.
추천교재
만화로 읽는 수능 고전시가★, 피램 필수 고전시가, 수능 문학 필수 고전시가 125(상상)
2. 기본 어휘(배경지식)
영어도 결국 단어가 깡패죠. 국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인이라서 우리가 단어를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단어가 주는 '느낌'만을 알고 있을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
'감각적이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또 '추상적이다'와 '구체적이다'는 어떤 의미상의 차이가 있을까요?
결국 이러한 단어들에 대한 이해가 선지 판단의 기준이 될 때가 많습니다.
추천교재
EBS 어휘가 독해다! 수능 국어 어휘★, 국어의 기술 어휘력
3. 문학 개념(어)
문학 개념 역시 어휘와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느낌'으로만 알고, 실전적인 판단 기준을 알고 있지 못합니다.
가령, '영탄'의 판단 기준은 무엇일까요?
대충 한탄하는 느낌이면 되는 걸까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의 판단 기준은 무엇일까요?
대충 시간이 흐른 것 같으면 되는 걸까요?
어느정도 정형화된 기준을 잡아놓고, 기출을 분석하는 것과
그냥 냅다 기출만 보는 것과는 꽤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수영하는 방법을 어느정도 알고 물에 뛰어드는 것과
무작정 물에 빠져서 수영을 배우는 것의 차이가 있겠지요.
추천교재
100발 100중 문학 개념, 떠먹는 국어 문학
4. 논리 스키마
논리 스키마는 일종의 '추론 틀'입니다.
우리가 선지의 참/거짓을 추론할 때 도움을 주는 규칙들이지요.
다음 문제를 한 번 풀어볼까요?
[지문] 헴펠에 따르면 설명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첫째, 피설명항은 설명항으로부터 ‘건전한 논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생략)
[선지] 어떤 것이 건전한 논증이면 그것은 설명이다. ( O X )
내용 자체가 어렵게 만들기 보다는, 논리를 꼬아낸 선지인데요.
다음과 같은 논리 스키마가 마련되어 있으면,
훨씬 빠르고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A이면 B이다>의 참이 <B이면 A이다>의 참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 [<설명이면 건전한 논증이다>의 참이 <건전한 논증이면 설명이다>의 참을 보장하지 않는다]
24수능에서 나왔던
[잊지 않는 것이 병이 아닌 것은 아니다.
-> 잊지 않는 것이 병이다]
라는 것 역시 [이중 부정] 스키마를 통해 빠르게 해석할 수 있는 대상이었습니다.
추천 교재
두뇌보완계획 10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6 예성국어 커리큘럼
그러나 또 한 편으로 보면
위의 것들을 혼자 학습해나가기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교재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어느 정도 깊이로 학습해야 하는지 결정하기가 애매하니까요.
제 현장 수업에서는 위의 교재 중 몇몇 교재를 부교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주 수업 시작 시에
10분 정도 약점 테스트를 실시하여
개념/어휘/논리 스키마 문제 몇개 + 지난 수업 복습 문제 몇개
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
아무래도 매주 실시하여 평가/관리를 받다보면
혼자 공부할 때보다 훨씬 균형있고 안정감 있는 학습을 진행하실 수 있을 거예요.
수업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다음 커리큘럼 안내 영상을 참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2026 커리큘럼 안내 영상 >
https://youtu.be/IX3PWrEIdyI?feature=shared
https://youtu.be/IX3PWrEIdyI?feature=shared
https://youtu.be/IX3PWrEIdyI?feature=shared
< 수강후기 >
< 수업 신청 링크 >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6 수업에서는 예년보다도 더 관리 측면에서 수업의 시스템을 많이 향상시키려 합니다.
강단에 서있는 강사이지만, 매주 과제 검사를 실시하고, 약점 테스트를 통해 약점을 진단 및 극복시켜
개개인에 최적화된 수업/관리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에요.
물론 제 수강생이 아닌 분들이라 하더라도
도움을 최대한 받을 수 있게끔
여력이 되는 한 2026학년도에도 칼럼과 자료를 많이 많이
업로드해보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좋아요와 팔로우는 사랑♥입니다.
조예성T 수강신청 링크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대체 입시커뮤니티에서 뻘글쓴다는게 무슨 사고관인지 모르겠음
-
교육부 "2월 중 의대 '더블링' 교육 대책 종합해 발표" 1
(세종=뉴스1) 이유진 기자 = 교육부는 2월 중으로 의학 교육 전반에 대한 대책을...
-
카카오 본사가 제주에 있는데 컴공은 혜택 같은 거 없나요? 아시는분 계신가... 갑자기 궁금스
-
을 외치는 케이쨩이었습니다
-
T1 : 도란, 오너, 페이커, 스매시, 케리아 HLE : 제우스, 피넛, 제카, 바이퍼, 딜라이트
-
고3인데 adhd 의심 되면 진료 받아보는 게 좋을까요? 0
이제 현역 고3인데 adhd 의심 증상들이 너무 많아서요.. 중학교 때부터 의심되긴...
-
안ㄴㅕㅇ하세여 5
똥글만쓸게요…..
-
추합돌거 보면 이제 객관적으로 서울 경인 빼고는 인서울급으로 보면 안됨
-
토리모도스마데사 3
못또쿠라쿠라쿠라쿠라쿠라사세테요
-
소아치과는 인기과인데 소아청소년과는 비인기과인 이유 0
순수한 궁금증인데 소아치과랑 소아청소년과랑 둘다 애들이 많아 진상이 많다는 공통점이...
-
난 그냥 뻘글싸고 놀고싶은데
-
예비 16번인데 제발 부탁드립니다..ㅠㅠ
-
무슨메타인가요? 4
나도 끼워줘
-
동아리 수시 지원법
-
작년 탑툰에만 아이폰 한 대 값을 갈아넣은 사람으로서 칼럼을 안 쓰기엔 너무...
-
간단 요약 1. 공통, 미적, 확통 하는 중 2. 공통은 손승연T현강, 미적,...
-
생각해보니 휴학 고려하면 나 본과 다닐 때 친구들 필드나감 가서 침 맞아야겠다
-
대학이란 뭐랄까 2
좋은 곳이죠
-
의정협상 제자리 속 경북대 의대 개강…출석 '한 자릿수' 1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의과대학 학생들의 복귀가 요원한 가운데 경북대 의대가...
-
현역때 수능공부 1도 안해서 24수능 44234 받고 재수때 바짝 공부해서 25수능...
-
지난주 진짜 너무 힘들었음 점공 거의 하나도 못 보고 있었는데 이제 좀 한숨 돌려서...
-
계속 쪼개는 오리비 계속 빡치는 오뎅이 먹뱉 오뎅이 핑키 오리비 리듬타는 핑키 오리비 염세 오리비
-
‼️우석대학교 약학과 25학번 새내기 여러분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제 41대 우석대학교 약학과 학생회 ☘️우연☘️입니다. 우선 우석대학교...
-
흠 10
chatgpt 쓸만하네
-
얼마전에 봉급표 구경하다 안 사실인데 대학 재학기간까지 호봉에 반영됨.. 남자는...
-
정치떡밥도 안굴리는중
-
이건 억까임 3
-
주식 0
미장하는 애들아 요새 장 분위기가 달라진거 같지 않음? 나만 불장 같나
-
잘자라고 해줘 2
재독 2일차 걱정돼요
-
이게 자린고비 대리만족이지ㅋㅋ 뭔 오마카세가 40만원이나 하냐.... 볼때마다...
-
시립대 경제 폭 0
올해 폭 난거 같은데 추합 몇명이나 될까요?
-
?
-
정파출신 허수가 11
무슨 뜻이에요? 허수는 아는데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침묵은 부정의 의미로 받아들이겠습니다 7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침묵은 부정의 의미로 받아들이겠습니다
-
잘자요… 4
다크서클 없애기 프로젝트 1일차
-
100배는 더 떨렸음 내 힘으로 결과를 바꿀 수 없으니까
-
쎈b도 1회독 했는데 그냥 시발점만 계속 돌릴까요 아니면 쎈도 한바퀴 더 돌릴까요...
-
그저 -탑- 귀여워서 올림ㅋㅋㅋ 류민석 02 / 전시우 07 03:36 케리아 일로...
-
코수술 잘 한 듯 12
좀 붓긴 했는데 그 덕에 콧대가 높아보여서 맘에 듦 본디 내것이 아니기때문에...
-
경희 시립 3
경희대랑 시립대 학비 차이도 심하고 요새 시립대가 뜬다던데 동일학과 기준 시립 선택이 맞겟죠.???
-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
독해 문제 나도 싫은데
-
차단해제 완료 2
나는 어쩔 수 없는 도파민 중독자다
-
어렵ㄱ다... 재밋는영상만드는사람들은 ㄹㅇ센스가타고난듯
-
1. 술 안마시거나 불가피하면 조금만 마시기 (O) 2. 담배 피우지 않기 (친구...
-
절고 중간에 빼먹고 그리고 못불러도 100점을 주는건 왜죠..
-
잘자요 12
저격 메타 넘 무서ㅂ ㅓ 요 덜덜 떨리네ㅇ ㅠ 오늘 하루 종일 무서워서 글을 못...
-
드라이아이스는 맨손으로 만지면 안 된다 아프다..
-
전기: 서연고 이화 서강 후기: 성균 문과, 한양 공대, 외국어대 어문 +지거국,...
언잰가 선생님처럼 훌륭한 국어 강사가 되고 싶습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어휴 아닙니다. 그냥 열심히 하는 강사 나부랭이입니다. ㅎㅎ 응원하겠습니다!!
우리 애들에게 읽으라고 추천 걸어야겠음...
히힣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038.png)
좋은글 늘 감사합니나선생님 수업울 오떻게 들을수 있나요?
게시글 하단 링크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
두보계 진짜 추천 리트 추논 공부할때도 많이 쓰더라고요
군대에서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ㅎㅎ..
선생님 수업 너무 좋고 동기부여도 많이됐어요?
쌤 항상 화이팅입니다??
엇 누구지 ㅎㅎ 고맙다 ㅎㅎㅎㅎ
ㅎㅎ 대치 오르비 가운대에서 들었었어요!!
(대충 아실꺼라고 믿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ㅎㅎㅎ선생님!! 올해수업 정말 잘 들었습니다아아
학습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에서도 정말 도움 많이 받은 것 같습니다 ㅠㅠㅠ 24수능 4등급에서 25수능 백분위 95까지 올린건 진쨔..여러모로 쌤 덕분이에요 수의대 잘 다니겠습니다!! 반려동물 키우게 되시면 꼭 연락주세요 ㅎㅎ
아니야 본인이 노력한 성과지 ㅎㅎ 앞으로도 행복한 대학 생활하길 바란다~~~
학부모입니다. 자녀가 자퇴생이라 제대로 국어공부를 한 적이 없고 인강도 듣지 않고, 감으로 풀다보니 문학 푸는데 오래 걸리고 1-2등급 진동하는 성적이었어요. 이번에 선생님 글을 보여주고 만화로 읽는 고전시가, EBS 수능어휘, 백발백중 문학개념어 공부하니까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해요. 기출이긴 하지만 마닳 풀면 지금은 시간 모자라지 않고 거의 100점 나온다고 합니다.
혹시 고전시가 말고 다른 문학 영역도 도움이 되는 책이 있을까요? 현대시, 현대소설, 고전소설, 수필은 그냥 기출 + 수특/수완 연계 공부만이 답일까요? 도움 부탁드려요~
네 다른 영역은 지문 정독 후 선지 하나하나 제대로 해설 해보는 식으로 연습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유가 된다면 본인이 스스로 해설지를 쓰는 게 가장 좋구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