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여 [1325791]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4-10-23 18:21:19
조회수 376

재밌는 언어학 이야기 (혼효)

게시글 주소: https://gaemichin.orbi.kr/00069588455

여러분 원래 '넓다', '젊다', '읊다'에는 모두 ㄹ이 없던 거 알고 계시나요?


'넓다'의 옛말은 '넙다', '젊다'의 옛말은 '졈다', '읊다'의 옛말은 '잎다'입니다. 음...? 그럼 ㄹ이 어떻게 첨가됐을까요? 한국어에서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갈 때 자음군이 새로 생기는 음운규칙이라도 있었던 걸까요? 그러한 현상이 없었을뿐더러 애초에 그러한 현상이 일어날 음성적 동기도 없습니다. 그러니 음성적인 영향이 아니라 다른 영향으로 단어가 바뀐 겁니다. 


이때 '혼효(blending)'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비슷한 유형의 단어들, 그러니까 의미적으로 유관하고 유의 혹은 반의의 계열 관계를 이룰 때 서로의 단어 형태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넙다'와 '너르다'가 혼효되어 '넓다'가,

'졈다'와 '늙다'가 혼효되어 '젊다'가,

'잎다'와 '닑다(>읽다)'가 혼효되어 '읊다'가 


된 것이죠. 실제로 이렇게 ㄹ이 들어간 예시는 근대국어에야 등장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