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31번 답이 2번이 아닌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61927
(저도 2번 찍어서 틀리긴 했습니다)
저의 굉장히 주관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그냥 흘려 들으셔도 좋습니다.
평가원의 시험은 매우 명시적입니다. 특히 국어나 영어는 주관적인 영역이 분명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명시적인 근거를 박아서 객관적인 시험을 만들겠다고 생각하는 미친 집단이고 실제로 그렇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각설하고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문제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25학년도 6모의 영어 31번입니다. 3번이 왜 답이냐는 너무나도 훌륭하신 강사님들께서 전부 설명하셨지만 2번이 왜 답이 아닌가?에 대한 의문이 굉장히 컸습니다. 무엇보다 저도 storage를 저장으로 해석하였기에 더욱 평가원의 의중이 궁금했어서 정말 오랫동안 생각해본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storage의 뜻의 ‘종류’ 때문에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Storage를 ‘물리적 저장고’가 아닌 ‘저장’ 혹은 ‘보존’으로 보면 맞을 수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겁니다.
storage의 뜻이 ‘저장’일 때
It is not the media itself but the information on the media that needs to be preserved
이 문장에서 저장되어야 하는 ’객체‘는 매체 그 자체가 아닌 ‘매체 속 정보’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매체 속 정보’입니다. 즉, 평가원은 여기서 정보는 매체의 부분집합이다. 라고 명시를 해놓았습니다. 엄연히 정보는 매체 속에 포함된 부분인 것이죠. 저장을 빈칸에 넣어서 해석한다면 빈칸의 문장은 ‘매체는 (정보의) 저장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라고 의역할 수 있겠죠. 그러나 이는 틀린 말입니다. 정보는 매체 속에 있기 때문에 저장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storage의 뜻이 ‘보존’일 때
이걸 많은 분들께서 지적하시더라구요. 아마 마지막 문장에서 보존되어야 하는 객체를 강조하였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내용의 동치’입니다. ‘보존되어야 하는 객체가 매체가 아닌 정보이다’ 라는 문장이 과연 ‘매체는 보존되어야 하는 존재가 아니다’ 혹은 ‘매체는 보존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와 정확히 동치일까요? 물론 조금 애매하긴 합니다. 그래서 조심스럽게 예측해 보건대, 아마도 평가원은 이 부분에 대해서 태클을 걸 것을 알고 ‘it that‘강조구문과 ’not but‘의 형식을 사용해 preserved보다는 media와 information on the media에, media보다는 information on the media에 집중하도록 명확히 유도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가장 적절한 것‘을 골라라는 말로 쐐기를 박은 것 같고요.
그렇다면 왜 답은 3번일까요? 이젠 명확하지 않나요? 어쨌거나 매체는 정보의 필요조건이며, 정보는 매체의 충분조건이라는 집합관계는 명확하기 때문에 심지어 이를 강조했기 때문에 형식상으로는 매체와 정보간의 집합관계를 물어보는 매우 깔끔한 문제였고 답은 내용을 의미하는 ’message‘가 되는 것입니다. 매체가 정보의 부분집합이라는 말은 정확히 반대되죠.
물론 내용의 흐름상 갑자기 저런 말을 하는 것이 깔끔하지 않다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빈칸 문장의 앞 문장을 보시면 This is clear in the analog environment where the information content is inextricably fixed to the physical medium 이라고 합니다. 즉, “디지털 세상과는 다르게” 아날로그의 환경에서는 정보가 매체에 고정된다고 보는 거죠. 그렇다면 디지털 세상에서는 매체는 ___의 한 부분이 아니야 라고 말한다면 빈칸에 정보가 들어가줘야 흐름상으로도 보다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소 뒷북인 것 같긴 하지만, 비록 일개 고등학생이지만서도 정말 깊게 생각해보고 찾아낸 사고과정이기 때문에 감히 공유를 해드리고 싶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친구들 금방 사귀는 타입이면 ㄱㅊ하려나 일단 룸메를 노려보아야겄네
-
중앙대 국문학과 16명 모집 59명 지원 현재 진학사기준 최초예비번호 34번까지...
-
아 피곤해 0
ㅠ
-
성대 0
성대 오늘 추합되신 분들 아직 등록금고지서 못 받은 거 맞나요?
-
3떨 할 줄 알았던 제가 찐막차라니... 피오르팀 감사합니다 점공 때는 불안해서...
-
5년전에누가 말투랑얼굴이랑성격이랑 ㅈㄴ다름 이라고햇내 어그대로다
-
필기하려고 사는거기는 한데 집돌이라 게임이나 영상도 할거 같음 어떤거 추천하심?
-
재수생이고 작수 2등급.. 안정 1등급 목표에요 저 두 사람 중에 고민인데 누가 더...
-
ㅅㅂㅅㅂㅅㅂㅅㅂ
-
2칸까지도 붙을듯
-
90년대 입시하던 우리 엄마 말로는 이대는 서성한급? 스카이 바로 아래급으로...
-
아 1
약속 20분전에 파토내는건 에반데
-
제발 도와주십쇼 8
오르비언분들에 비해 턱없이 낮은 대학들이지만 저에겐 너무나 큰 고민입니다.. 지금...
-
물지에서 지구버리고 사문으로 런치려고하는데 지원불가인 대학있을까요?
-
곧 재수 시작인데 조언을 듣고 싶어서 글 써봅니다. 과목 수업 자기가 골라서 듣는...
-
시대생들의 빈자리를 채우는 저렙노프사단의 정상화. 어쩌면 아픈게 아니라 이게 정상인걸까
-
3일차 목표 1
국어 문학 6지문 비문학 3지문 언매 63문제 화작 1지문 수학 1 자이 50문제
-
한의대 목표면 확통해도 ㄱㅊ지?
-
머가더어려움? 3
ㅈㄱㄴ
-
여전히 중경외시인가요?
-
내신반영 첫해+12명 감원+나군 이동(기존 경희의 빵 이어받음) +경희의 증원+한양 경희 차이 없음
-
낙지 739.8임.. 며칠째 전화기만 붙잡고 있어서 알바도 집중 못하고 있는데 ㅈㄴ 스트레스 받네
-
현역이고 2월 말까지 한완수랑 기출 한번 돌리고 3월달 부터 강기원 라이브로...
-
성대 인과계 0
성균관대 인문과학계열 지금 점수 어디까지 붙었나요..? 640.29 추합 되려나요..?
-
어떤가요???
-
키타: 인스티즈 (아이돌 게시판에서 주로 활동. 인스타 하느라 그리 많이 하진...
-
무슨반이니~~
-
카이스 아나토미 0
기출 할려 하는데 카이스아나토미는 문항수가 부족하다 하는데 이것 외에 수분감이라든지...
-
백분위 국어 93 수학90 영어2 정법 97 세계사 만점 화이팅…!
-
전서래 4합5 ㄷㄷ
-
닉변함 1
-
국어 백분위 98 수학 백분위 98 영어 1 생명 백분위 96 지구 백분위 94...
-
맞팔 3
-
907.99 붙나여 저는 아니고 다른 분 ,,
-
884.32 붙나요 저는 아닌데 다른 분 ,, ㅠㅠ
-
[2026수리논술]내신0%,논술100% 반영대학(연세,고려,서강,성균,경희,이화,건국) 0
[2026수리논술]내신0%,논술100% 반영대학(연세,고려,서강,성균,경희,이화,건국) 입니다.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심심해서 수학100해놓고 고속 돌려보는데 영향력이 엄청나네 국어 좀 망해도...
-
네이버 카페 가입하세요...
-
902.88 붙나요
-
[단독] 석유公 "액트지오가 맞았다…메이저사 투자 의향 강해" 4
산업통상자원부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첫 탐사 시추에서...
-
홍대 경영 3
홍대 경영 추합 어디까지 돌앗나요 128.15 붙나..요? 저는 아닌데 다른분 ㅜㅜ
-
한완수 로그질문 4
이거 범위 4보다 크거나 같은게 맞나요? 공부하는데 이상해서요ㅠ 풀어보고 알려주세요ㅠ 고수님들 ㅠ
-
근데 1지망이 먼저 붙어서 원래 안 갈거긴 했습니당 자고 일어났는데 부재중...
-
삼반수 1
삼반수해서 인가경 -> 건동홍 높공 성공이라고 봐도되나
-
그 이상은 절대 그 위로 못올라감 22수능 독서 보기3형제 보셈 어려운 문장을...
-
새벽 근무 중 숨진 20대 일병…욕설·기수암기 강요 시달려 1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지난해 새벽 경계근무 중 사망한 육군 제51사단 소속...
-
국민연금 '내는 돈' 13%로 올린다…여야, 20일 복지위 소위 논의 3
(서울=뉴스1) 서상혁 박재하 기자 = 여야가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홍대 법학부 4
128.80 예비 195번 붙나요??!
-
중앙대 연극/연출.기획 411.04점 붙나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