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적으로 넣기만 하지 말고, 능동적으로 꺼내는 연습도 해야합니다
이번 편은 특히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대학생 이상의 사람들에게도 꼭 말해주고 싶은 중요한 내용입니다.
여러분은, 특히 한때의 저도, 무조건 머리에 집어넣고 우겨넣고 암기하고 외우고 저장하는 것이 학습의 전부인 줄 압니다. 그러니까 수업과 자습을 구분을 제대로 못하고, 무조건 그냥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만 받아적고 이해하는 데에 그치고, 공부 다 했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한번도 스스로, 주도적으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뭘 공부해야 겠다고 마음먹고 실행한 적이 없죠. 그냥 학원에서 진도에 맞춰서 가르쳐주고, 학교는 진도 나가기 바쁘고, 여러분은 진도를 따라가기 바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시키고 하라는 대로 머리에 넣기만 하는 것이 공부의 전부인줄 압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Oc0gbPgYYs&list=LL&index=48&ab_channel=%EC%84%B8%EB%B0%94%EC%8B%9C%EA%B0%95%EC%97%B0SebasiTalk
이 때문에 대학생이 된 한국의 학생조차, 일종의 패배주의에 갇혀 있습니다. 수업에서 안가르쳐 줬잖아요! 교수님이 공부를 시키지 않았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새로이 공부를 할 필요도 못 느끼고, 할 의욕도 없습니다.
제가 지난 칼럼에서 서울대생들을 비롯한 한국 학생들이 창의성 면에서 결코 미국 학생들에게 뒤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한국 대학생들과 미국 대학생들이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습니다. '자기가 모르는 부분을 풀라고 했을 때' 태도가 극명하게 나뉘는데.
미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이과/문과 마지막 세대거든요. 저랑 같은 때 공부한 문과 친구들은 미분을 배울 일이 없었습니다. 재미있게도 미국 학생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수학 진도가 한국에 비해서 엄청나게 느립니다. 한국 문과 대학생이나 미국 대학생이나 미분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것은 동일합니다.
최재천 교수가 말한 사례입니다. 한국에서 서울대 문과 학생들에게 미분에 관한 문제를 내주고 풀어오라고 시켰답니다. 그런데 돌아오는 대답은? 저 문과라서 미분 안배웠는데요. 이걸 어떻게 풀어요 였답니다.
동일한 숙제를 미국 대학생들에게 주었답니다. 어떻게 되었을까요? 어찌저찌 미분에 관한 책을 읽고 공부를 해서, 미분이 필요한 숙제를 해 왔답니다. 전 이것이 결정적인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69d79D0yEk&ab_channel=%EC%B5%9C%EC%9E%AC%EC%B2%9C%EC%9D%98%EC%95%84%EB%A7%88%EC%A1%B4
바로 공부에 대한 '태도'입니다.
미국 학생들은 특히 수학에 관해서 한국 학생들보다 선행이나 진도가 안된 상태에서 대학교에 들어옵니다. 그런데 만약 미분처럼 수학에 대해서 여태 공부하거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는 것이 과제로 나왔다, 그러면 당연하게 책을 찾아보고 새롭게 스스로 공부해서 풀어서 온다고 합니다.
저도 이과라서 잘 알지만 이과의 경우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에 대해서 엄청 많이 더 빠르게 배우고 옵니다. 그래서 뭔가 과제가 나오면 당연히 고등학교 때 최소한 언급이라도 들어봤던 내용이 나옵니다. 그럼 풉니다. 그런데 만약 내가 모르거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는 것에 대해서 과제가 나왔다? 저도 그랬는데요, 이걸 어떻게 하냐는 말부터 나옵니다. 어쩌긴요 모르면 공부를 하든 과외라도 받든 해서 알아서 공부해야지.
우리는 스스로 감옥에 집어넣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문과라서 미적분 안배웠는데요? 이걸 어떻게 해요? 저는 이과라서 평소에 신문 안읽는데요? 이런 어려운 주제에 대해서 토론문을 어떻게 작성해요? 답은 다 같습니다. 스스로 공부를 하라는 겁니다.
사실 대학 입시, 수능까지만 해도 이렇게 능동적인 사고방식은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러다보니 이제는 극단적으로 수동적인 사고방식이 머리에서 자라난다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수업을 듣는게 공부라고 생각했습니다.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진정한 공부는 수업을 듣고 이걸 스스로 자습할 때 복습하여 내 것을 만들어야지 끝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공부라는 것을 지극히 지식만 단순무식하게 집어넣는 것이라고만 한정짓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 시험은 제한시간이 있습니다. 한정된 시간 안에 문제를 읽고 내 머릿속에 있는 것을 빠르고 정확하게 끄집이내서 연필로 쓰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SW-TqPOonI&list=PLb6iCOGm18UyoJQOOolbWDpQmKYn823GW&ab_channel=%EC%84%9C%EC%9A%B8%EB%8C%80%ED%95%99%EA%B5%90SeoulNationalUniversity
여러분 컴퓨터가 있는데, 이게 저장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빠릅니다. 뭔가 PDF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할 때는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고 정확하게 담겨서 좋아요. 그런데 막상 PDF 파일을 열어서 읽어보려고 하니까 컴퓨터가 다운로드할 때는 엄청 빨랐는데 거꾸로 업로드하거나 열 때는 무지막지하게 시간을 길게 잡아먹으면, 이게 성능이 좋은 컴퓨터라고 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딱 이런 컴퓨터라는 것입니다. 입력에만 초점이 맞춰져있고, 뭔가 지식을 다운로드 받는 것에 대해서만 특화되고 계속 훈련하는.
컴퓨터의 생명은 속도와 정확성이겠죠. 근데 다운로드는 엄청나게 빠른데 업로드는 엄청나게 느리면, 분명 쓰레기통으로 갈 것입니다. 비슷하게 학생도, 수업은 열심히 듣고 뭔가 필기는 많이 하는데, 정작 문제를 보고서는 내가 이걸 어디서 언제 봤더라 하고 한~참 고민만 하고 정작 정답을 향한 풀이를 시작도 못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머릿속에 폴더가 잘 체계적으로 형성이 되어있어서, 뭔가 필요한 것을 끄집어낼 때의 속도도 빠르다면? 그건 정말 좋은거죠.
때문에 수업을 듣고 진도를 나가고 새로운 지식을 머리에 저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저장하고 나서 활용하고 빠르게 끄집어내서 시험지에 적어내는 속도도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공부는 열심히 하는데 성적이 안오르는 학생들은, 보통 인풋은 많고 머리에 든 것은 많은데 정작 한정된 시간 속에서 빠르게 정보를 인출해내고 떠올리는 연습을 안했기에 항상 시간이 모자른 것입니다.
우리는 보통 머리에 넣는 것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머리에 든 것을 체계적으로 폴더별로 잘 정리해서 필요한 순간 빠르게 항목을 찾아내서 해당 내용을 기억해내는, 출력 과정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시험이 다가올수록, 수능이 코앞으로 닥쳐올수록 머리에 넣기 보다는 머리에 든 무거운 지식들을 꺼내서 시험지에 내려놓는 연습이 더 중요해집니다.
그런데 그 와중에 한가하게 머리에 넣는 작업만 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더군요. 저도 당연히 그랬었고.
그런데 컴퓨터의 성능은 인풋에만 좌우되지 않고, 아웃풋도 중요하다는 점! 궁극적으로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단 머리에 담고 지식을 알고 있는게 중요하긴 한데, 그 다음 그것을 빠르게 찾아내서 상기하고 끄집어내서 그 풀이 과정을 적고 정답에 도달하는 훈련도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여러분이 꼭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공부를 한다고 말하면 당장 수업을 듣고 머리에 지식을 왕창 집어넣는 것만 생각하는 경향이 심한거 같습니다. 내가 시험을 쳐봤는데 모르는 개념이 발견되면 알아서 찾아서 넣어야 하고, 시험 시간이 부족하다면 빠르게 인출해내는 연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행동을 해야하는 것입니다.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https://orbi.kr/00062818762 - 22편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https://orbi.kr/00063239512 - 23편 어려운 문제도 잘게 쪼개면 풀 수 있다!
https://orbi.kr/00064157242 - 24편 리터러시(문해력,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4692514 - 25편 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https://orbi.kr/00064934387 - 26편 대한민국은 강대국이 될 자격이 없다
https://orbi.kr/00065089413 - 27편 본질 feat. 반추 동물의 생존
https://orbi.kr/00067574982 - 28편 추론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7699093 - 29편 천재에게 과외 받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7722206 - 30편 중요한 것으로 마음을 가득 채우세요
https://orbi.kr/00067987848 - 31편 국어와 영어를 잘하는 법 - 중요한 것에 밑줄치고 집중하라!
수동적으로 넣기만 하지 말고, 능동적으로 꺼내는 연습도 해야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확히 말하면 일반고 학종러들 1학년때부터 몇몇 쌤들이 학종가지고 은근슬쩍...
-
일 때, 를 0으로 만드는 에 대한 방정식은 입니다. 그런데, 를 0으로 만드는 에...
-
안가고 롤토체스함 ㅂㅅ
-
님들 수업시간에 공부했어요?
-
오수라는 단어의 폭력감이 너무 강함..
-
본인이 리바이어던에 나오는 국가를 대표하는 주권자인가 그냥 본인이 살아가는...
-
귀엽 1
최애이모티콘
-
현역 정시파이터입니다 수업중에 정시공부를 하고싶어요 솔직하게 말씀드릴까요? 아니면...
-
수많은 담요단 오명에도 고고히 빛나는 1타 ㄹㅇ
-
하.........계산력 딸려서 엉엉 울었어
-
친구랑 허구한날 손절하다가 깨달은게 하나 있음 나랑 친구하면 손절할 일 없으니까...
-
초반에는 머리깨지듯이 해도 2달만 지나면 설렁~설렁~ 하게되는데 어떻게 해야 마음을...
-
강남대성 유시험 전형 통과했고 거의 노베에요 어머니께서는 너가 공부를 잘하는 편은...
-
그럼 국어는 인강보다 피램같은 독학서로 자습하는게 효율 더 좋나요? 5
노베가 실력키우는데요!
-
나 성격 씹장애라 주변 사람들이 일정 주기로 손절함 ㅅㅂ
-
그때마다 화나는 일 생겨서 냅다 짬뽕시켜먹음
-
님들 수학은 인강보다 독학서로 혼자 자습하는게 효율 더 좋나요? 3
수학 인강보다 한완수같은 독학서로 자습하는게 효율 더 좋나요?
-
이다지 개노잼임 권용기나 ebs 들으셈
-
저는 작년 6,9평이랑 수능이 좀 쉬웠다 어떻다 그건 저는 잘 모르겠고 솔직하게...
-
이번에 시범과외 하게 됐는데 중학생 국어는 완전 첨이라 해보신 분들 팁 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나는 아직 응애인데 10
사회는 내가 어른이래요 변한게 없는데
-
나도 천룡인이다 우히히
-
한 단의 첫 문제가 한단의 40%를 넘지 않으면 두 문제를 넣도록 해놓음ㅎㅎ 그리고...
-
강대 3합 9 대기 받길래 바로 못 들어가는 걸로 알아서 유시험 봤는데 됏네여ㅎ...
-
난 인형없으면 못자서 기숙사에 돌고래 인형 가져감 14
꼭 껴안고 잤어
-
"InDePTh 모의고사 충격적 후기.... 왜?" 0
"이 모의고사는 기출과는 다른 결의 난도를 가지고 있는 모의고사라는 생각이 듭니다....
-
저격 아니고 내 얘기임 깊게 생각을 못 하고 단편적인 것만 보네
-
확실히 저런 모습은 처음 보긴 해
-
공군 군수 하려는데 인강많이들어야하는편이면 비추인가요? 4
재수생인데 그냥 대학교가서 반수가 나을가요? 군수보다? 개념인강을 좀 마니 들어야해서
-
뭐 어쩌라는 거냐 개씨발진짜
-
엥간하면 칼럼이나 학습자료글엔 이런댓글 안달면 좋겠는데
-
있으면 작년강의 듣는게 낫겠죠? 아니면 작년교재로 올해꺼 듣는게 나을까요?
-
.5보단 밑으로 갈듯..? 찐폭까진 아닐듯하네요 오히려 중문이 복병이었던듯;;;...
-
이사람 누구지
-
윤도영 현강 들으면서 공부중인데 저는 올어바웃 예제 복습하면서 문제 풀이과정...
-
경희는 글로벌커뮤니케이션이고 4반수를 하게 된다면 목표는 서성한 상경계열 또는...
-
이번 현역 07이고 이전엔 생지 했습니다 사탐런 정시파이터로 돌릴건데 사탐을 아직...
-
한 학기만 더 쓰고 바꿔야할듯
-
탈릅합니다 9
글 쓰는게 어느 순간 병신같아지고 대학 가는데 이러고 있는 제 자신도 한심해서...
-
연대는 신촌캠도 3
연대는 신촌캠 합격자도 1학년 전원 송도에서 수업듣나요?
-
나는 병신이니까 남들보다 더 열심히 해야된다는 마인드로 공부하기
-
잠을 11시간 쳐자서 그런가
-
엄마나 쌤이나 친구나 갈등할 일 생기고 상처받고 눈치보일 때 그냥 잠깐 다멈춤 하고...
-
3이상 맞았다는 전제하에 ㅇㅇ 그냥 유전위주로 파다가 6모쯤부터 무한 실모+오답...
-
면허응시비용에 써야겠네
-
성심당 가고 싶어요
-
인식이 안좋은것 같아 마음이 아파요
-
평범한 여자 손크기인데 지금 폰이 미니사이즈라서... 카메라 땸에 가고 싶은데 별로 일까요?!?
-
혹시 자퇴 처리 기간이 어느 정도 걸리셨나요?
-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