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수능 영어 총평 (feat. 역대급 난이도2)
신동훈 강사.pdf
안녕하세요.
대치동 선경어학원 고3 팀장
신동훈 강사입니다.
[수능 영어가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는 시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절대평가인 영어가
입시에서 변별지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 총평
"거두절미하고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참고로, 이 멘트는 올해 9월 평가원 영어 시험에서도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오답률 TOP4에 해당하는 문제들의 정답률이 18% (33번), 24%(34번), 37% (37번), 38% (38번) 총 배점 10점이었습니다.
처음 문제를 풀고 나서 들었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평가원에서 엄청난 노력을 했다.
빈칸, 순서삽입을 어렵게 내기 위해서 대의파악, 어법은 상대적으로 쉬워진 점,
33, 34번을 어렵게 내기 위해서 31, 32번은 상대적으로 쉬워진 점 등
평가원의 디테일이 보이는 시험지였습니다.
② 9월 평가원의 기조가 유지되었다.
지문은 쉽지만 선지가 까다로운,
정답 같지 않은 정답 VS 매력적인 오답 사이의 고민은 여전히 유효하였습니다.
③ 킬러 문제는 제거되었지만 제거되지 않았다.
이전처럼 지나치게 난해하고 추상적인 지문은 사라졌지만
선지의 까다로움으로 인해서 오답률이 매우 높은 문제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지문은 쉬워도 오답률이 높으면 더 어려운 문제 아닌가...?)
④ 시간이 엄청 부족했겠다.
9월 평가원에 비해서 어휘의 수준이나, 지문의 난이도가 전체적으로 상승한 데다가
선지 고민으로 인해서 지문을 여러 번 읽게 되면서 시간이 엄청 부족했을 것 같습니다.
⑤ 영어 1등급이 만만치 않겠다.
국어, 수학도 어려운 상황에서,
선지의 까다로움과 시간 부족을 극복하고 영어 1등급을 쟁취해내는 것이
쉬운 미션은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⑥ 각주에 주어진 단어가 참 묘하다...
별로 중요한 이야기는 아닐 수 있지만
각주에 주어진 많은 단어들이 조금 과하게 어렵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demarcate 경계를 정하다 / kinaesthetically 운동감각적으로 / adjunct 부속물 / cadence (율동적인) 박자 / evince (감정 따위를) 분명히 나타내다 / precipitate 촉발하다 / swipe 판독기에 통과시키다 / contentious 논쟁적인 / sanction 제재를 가하다 / cerebral 대뇌의 / overhype 과대광고하다 / entanglement 얽힘
(물론, 과하게 어려우니까 각주로 주었겠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단어도 각주로 주나?' 싶었던 단어들도 많았습니다.
provoke 유발시키다 / compliment 칭찬하다 / innate 타고난 / commute 통근 / replication 반복 / analogy 유사 / mutation 돌연변이
■ 문항별 분석
□ 듣기(1~17번) : 듣기는 역시나 쉽게 그러나...
듣기 35점은 기본 베이스로 깔아주려고 쉽게 출제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듣기 총 배점은 37점입니다.)
“2점”만큼은 거저 주지 않으려고 마음 먹은 것 같습니다.
11번 정답률 69%,
정답 같지 않은 정답 VS 매력적인 오답 사이의 고민을 듣기 문제에서도 하게 만들었습니다.
“방심하는 순간 쿵...”
□ 대의파악(21~24번) : 시험의 밸런스를 잡아 준 대의파악!
마냥 쉽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크게 어렵지도 않았습니다.
어쩌면, 빈칸이랑 순서삽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고,
1등급은 받기 힘들지만 2등급은 받을만할 수 있다라는 예고였을지 모르겠습니다.
21번(61%) : 지문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이해가 되지만 선지가 헷갈리는 문제입니다.
물어보는 것이 주제인지 반주제인지 파악하는 것부터,
매력적인 오답(②번, ⑤번)의 존재로 첫 문제부터 당황한 학생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22번(86%) : 답이 너무 쉽게 보여서 그렇지 지문 자체는 그렇게 쉽지 않았습니다.
멘탈을 흔들거나, 시간 부족 현상을 유발했을 것 같습니다.
23번(55%) : 지문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이해가 되지만 선지가 헷갈리는 문제입니다.
정답 같지 않은 정답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아는 단어, 낯선 의미” weigh(신중히 고려하다, 중시하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습니다.
24번(70%) : 지문은 어려운데 정답이 손들고 있습니다.
평가원의 대전제
“지문이 쉬우면 문제가 어렵고,
지문이 어려우면 문제가 쉽다.”
선지가 까다로운 문제 2문제,
지문이 까다로운 문제 2문제,
밸런스가 참 잘 잡혀있습니다.
□ 어법어휘(29, 30번) : 무난하게 출제...
29번(57%) : 매우 평이하게 출제되었습니다.
어법에서 점수 얻어가라고 “빈출 테마”에서 출제된 것 같습니다.
30번(66%) : 어휘 문제의 단골 소재인 경제학 지문이 출제되었습니다.
경제학 지문인 만큼 논리의 “방향성”을 잡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특히, 수많은 “부정어”의 사용으로 더 귀찮게 만든 것 같습니다.
□ 빈칸(31~34번) : 좀 심한데...
어렵습니다...
그냥 어렵습니다...
31번(77%) : 빈칸 4문제 중 유일하게 평이한 문제였습니다.
32번(45%) : 지문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잘 “붙여” 읽어야만 답이 보였을 것입니다.
특히, 매력적인 오답(①번, 24%)의 존재로 인해서 답 고르기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33번(18%)
지문은 이해가 됩니다...
답이 안보입니다... 지문을 또 읽고 또 읽어도 답이 안보입니다...
시간은 지나갑니다... 큰일 났습니다...
왠만한 영어적 센스가 있지 않다면 풀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불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34번(24%)
지문은 이해가 됩니다...
답이 안보입니다... 지문을 또 읽고 또 읽어도 답이 안보입니다...
시간은 지나갑니다... 큰일 났습니다...
왠만한 영어적 센스가 있지 않다면 풀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불가능했을 것 같습니다...)
복사 붙여넣기 실수 아닙니다.
33번과 34번은 요구하는 능력이 똑같습니다.
“영어적 센스”
올해 9월 33번과 34번도 똑같았습니다.
과연, 이것이 우연일까요?
□ 순서삽입(36~39번) : 간접쓰기의 진화...
지문이 많이 어렵습니다.
영어 피지컬이 많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최근 변화한 간접쓰기의 CODE를 잘 이해했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답은 맞추기가 수월했을 것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생들이 변화한 간접쓰기의 CODE를 잘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것이 함정...)
36번(38%) : 희미한 어둠 속에서도 객관적인 단서를 찾으면 보입니다.
“객관적인 단서가 많이 줄었지만,
없어지진 않았습니다.”
(B)에 있는 “these” 앞에 올 만한 내용은 (A)밖에 없습니다.
(A)-(B)가 강력하게 연결되는 두 놈입니다.
답은 ① (A)-(B)-(C) 아니면 ② (C)-(A)-(B)입니다.
(A)-(B)-(C)는 선지에 없으니 답은 자연스럽게 (C)-(A)-(B)가 됩니다.
(개인적으로 답을 ⑤번, 26%, 찍는 학생들이 매우 이해가 안되지만 영업 비밀이니 여기까지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37번(37%) : 희미한 어둠 속에서도 객관적인 단서를 찾으면 보입니다.
“객관적인 단서가 많이 줄었지만,
없어지진 않았습니다.”
(A)에 있는 “she” / “them” 앞에 올 만한 내용은 (C)밖에 없습니다.
(C)-(A)가 강력하게 연결되는 두 놈입니다.
답은 ① (B)-(C)-(A) 아니면 ② (C)-(A)-(B)입니다.
수능 날 찍신이 강림했길 빌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답을 ⑤번, 28%, 찍는 학생들이 매우 이해가 안되지만 영업 비밀이니 여기까지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38번(45%) : 공백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였습니다.
③번(45%) VS ④번(34%) 둘 중 고르는 문제입니다.
요즘 트렌드인 “거시적 분석”, 즉, 지문 전체의 “구조”를 이해해야 답이 보입니다.
39번(54%) : 공백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였습니다.
④번(53%) VS ⑤번(29%) 둘 중 고르는 문제입니다.
요즘 트렌드인 “거시적 분석”, 즉, 지문 전체의 “구조”를 이해해야 답이 보입니다.
복사 붙여넣기 실수 아닙니다.
복사 붙여넣기 실수 아닙니다.
복사 붙여넣기 실수 아닙니다.
과연, 이것이 우연일까요?
과연, 이것이 우연일까요?
과연, 이것이 우연일까요?
“우연이 아닙니다.”
□ the others(35, 40, 41~45번) :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만"...
35번(80%) :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
40번(58%) :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
41번(59%) :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
42번(58%) :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
무난하게 출제되었습니다만,
시간의 압박 때문에 과연 무난했을지 모르겠습니다.
43번(71%) : 생각지도 못한 복병을 만난 학생들이 있었을 것입니다.
긴 글을 읽어주신
고3 수험생 및 학부모님들께는 올해 입시에서 좋은 결과가 있길 빕니다.
고2 이하 학생 및 학부모님들께는 남아 있는 기간 동안 수능 영어 공부의 방향성을 잡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6
아직까지 눈치 못 챘으면 바보 여기에 적진 말고 ㅋㅋㅋㅋ 다들 안녕 。◕‿◕。
-
시대 풀로 다니는 거 아니면
-
현역의대 7
나 지금 현역인데 학원 테스트 평균보다 좀 더 높고 모의고사 보면 1등급 나오긴...
-
오해하기 딱 좋게 줄였네
-
어디가~
-
그래야 수능 끝나고 설뱃달아서 멋지게 오지
-
그냥 인강 없이 아예 문제집으러 독학 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강민철 커리 따라가는게...
-
히토리데와
-
잘 있어요 。◕‿◕。 48
다음에 돌아올게요 지난번에 인사도 없이 떠나서 죄송했어요 모두 행복하세요 。◕‿◕。
-
일부러 특정 좀 피하려고 말투 개조시켰는데 이제 제 주변인들은 원서 다 끝나서 바꿔도 될 듯?
-
얼버취 2
ㅇㅇ
-
애니프사 12
안정감이드는구나
-
이 글 쓰고 자러가면 잠이 솔솔 잘 와요 그래도 자러 가기 전까지 이미지 써드림
-
수백개씩 글 쓰는 나란 놈은 뭐지?
-
인강 빼고 아무것도 안되나
-
야식ㅇㅈ 2
밥도 말아먹을 예정
-
새터때 뭐입지 3
쩝 뭐입지
-
공부 잘하고 싶으면서 14
명확한 공부법을 정하지 않고 무작정 공부하는 건 이해 안감 물론 공부법을 세운다...
-
헌법행법민법 공부하다 국어기출 보니깐 느낌이 새롭네 3
특히 공법 공부하면서 기판력 기속력 공정력 불가쟁력 불가변력 부관 일부배제 등등...
-
난 탈릅안할거임 0
물론 숭자전 예비6번이 탈락하는 비상사태만 아니면 안할듯
-
현 예비고쓰리 미적분 처음 공부하는데 이렇게 3개 병행하는 사람 나밖에...
-
탈릅과 재릅 생각이 모두 있는 오르비언을 위한 팁 27
그냥 탈릅해버리면 다신 그 닉네임을 쓸 수 없어요 그래서 다시 그 닉을 달고 싶다면...
-
대치는 낮반 나올 것 같은데 기숙은 os 우선선발되면 기숙이 나을까요?...
-
차피 휴학이라 여기 지박령 예정일 듯ㅋㅋ;
-
ㅠㅠ 기다릴게
-
먐먐밈님 없는 오르비라...ㅠㅠㅠ
-
ㅜㅜ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마따끄 아즈사"블루아카이브...
-
시작
-
7월달 쯤에 합법 재릅되면 센츄랑 설뱃 의뱃 들고 올게요 공스타는 남아있을거에요 。◕‿◕。
-
굳이 개념강좌와 같은 선생님의 기출강의 들을필요는 없지?
-
매년 업로드 얘기가 끊이지 않는데 커리는 더 많아지는 이상한 현상
-
살짝 짜치는면이 있긴해 물론 실력하고 대중성은 ㅇㅈ
-
근데 이제 내가 사수생임
-
수1 질문 3
나름 맞게 작성했다고 생각했는데 가능한 t값이 안 나오네요.. 더 경우의 수가...
-
방굽습니다 1
-
본인 언매 체크메이트 들음 질문 게시판에 질문 남겼는데 한 20분? 있으니까 바로...
-
설탭도 가입하려다 끔 귀차니즘의 인간화가 내가 아닐까
-
이제 자야겠다 1
이러고 눈팅더하다 잘듯
-
낚시나 하러가자 2
기다릴게
-
창업도 안한 일반인이 부자가 되는건 불가능에 가까움? 걍 평생 평민으로 살아야함?
-
같은 실수를 반복
-
옯스타 맞팔구 2
furude_235
-
정시 추가모집 0
수시 이월된건데 아무도 지원안한과면 무조건 추가모집하나요? 특별전형으로 이월된거면...
-
지금잠에들지않으면 11
잠에안드는거죠
-
ㅈㄱㄴ
오 강사님 스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