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특강 8]별의 진화-성간물질과 원시별
두 번째 소단원인 "별의 진화"입니다! 여기선 별의 탄생, 별의 진화, 별의 내부 구조, 별의 에너지원을 다루는데, 교과서에서는 거의 진화과정 따로, 별의 내부 구조 따로, 에너지원 따로 다루는데 이걸 엮어서 생각하는 게 중요해서 전 묶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가벼운 별, 무거운 별 나눠서요.
여담으로 이 소단원은 핵물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입니다!(제 핵심전공이자 핵심연구분야가 별의 진화와 저에너지 핵물리학이라고 했었죠)
흠흠..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서 성간물질과 원시별에 대해 우선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성간물질은 천체 사이에 있는 먼지들을 이르는 말인데, 그 먼지가 빽빽히 모인 성운에서 먼지가 뭉치면서 원시별이 태어나요.
그렇기 때문에 성간물질의 물리량을 살펴보면, 밀도가 크고 온도가 낮습니다.
온도가 낮다는 사실을 중위권 학생들이 많이 오해하던데, 얘는 아직 스스로 핵융합해서 에너지를 만들 수 없어서 파장의 길이가 긴 적외선이나 전파를 주로 방출해요. 우리가 맨 앞에서 봤던 별의 물리량에서 빈의 변위 법칙을 보시면 온도와 파장의 길이는 반비례하죠? 파장의 길이가 긴지라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또한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따라 에너지를 많이 방출하지도 않겠네요.
그래서 성운은 저온 고밀도 상태이며, 특히 온도가 더 낮고 밀도가 큰 성운인 암흑 성운에서 별이 정말 활발하게 태어납니다.
성운의 물리량과 별이 태어날 조건을 봤으니 이제 원시별이 어떻게 태어날지 볼 차례네요?
밀도가 클수록 원시별이 잘 태어난다고 했습니다. 밀도가 큰 곳에서 먼지들이 중력 수축을 하면서 원시별이 만들어지는데, 중력 수축이 되면서 원시별의 반지름은 줄어들어요. 반지름이 줄어들면, 우리가 지난 [천체특강]에서 봤듯 별의 반지름은 별의 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사실(L=4πR^2ᆞσT^4)을 공부해서 알고 있기에, 이렇게 중력 수축을 하면서 원시별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수소 핵융합을 하는 주계열성으로 진화하는거죠. 이 때 별의 물리량을 참고하면 광도가 작아진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반지름이 계속해서 줄어드니까요.
원시별도 물론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기체에 의한 압력)이 존재하지만, 중력이 더 커서 계속 수축됩니다.
이 사실을 한 장의 그림에 나타내기 위해 우리가 H-R도를 [천체특강 7]에서 배웠고, 그 그림은
이겁니다.(참고서 그림 찍어올리고싶은데 저작권법ㅠㅠ...이미지출처는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강의자료)
수능에서는 이 그림을 주고 질량에 따른 광도, 온도, 반지름 변화를 물어볼 수 있어요.
그림을 보니까 질량이 무거운 별일수록 진화 경로는 길어보이는데 진화 시간이 짧다는 사실에 주의해주세요. 질량이 큰 별은 응축되는 양이 많지만, 그 속도가 빠릅니다. 게다가 저건 H-R도인지라 질량, 온도, 광도 변화지 시간은 언급된 게 없어요.
예를 들어 태양 질량의 100배인 별은 10^4년이 지나니까 바로 주계열 단계에 접어든 데 반해, 태양 질량의 0.5배인 별은 10^7년이 지나서야 주계열 단계에 접어든 걸 볼 수 있네요.
그리고 앞에서 얘기했듯 원시별이 태어날 때 온도는 올라가고 반지름은 짧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으며 광도 변화도 볼 수 있습니다.(전반적으로 광도가 줄어드네요)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했던 저 원시별이랑 (초)거성을 H-R도에서 어떻게 구분하는지 간단히 얘기해볼게요.
원시별 진화는 질량불문 모두 일어나지만, (초)거성의 진화는 태양 질량이거나(거성) 태양보다 무거워야(초거성) 일어나거든요. 또한 진화 경로가 조금 다릅니다.
이게 원시별의 진화고
이게 거성으로의 진화예요. 특히 태양 질량과 비슷한 질량의 별의 광도와 반지름이 급격하게 바뀌며 무거운 별의 진화 경로가 좀 복잡하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구체적인건 핵물리학 공부하시면 알 수 있어요ㅎㅎㅎㅎ자료 출처는 미국 천문학회 천체핵물리학 연구분과..)
이 부분은 어렵진 않지만 자칫 헷갈릴 수 있는 개념에 주의하셔야해요. 그 개념들을 지금까지 공부했던 별의 물리량과 연결해서 유기적으로 설명했습니다!
0 XDK (+1,000)
-
1,000
-
이성이긴 한데 그친구가 프사 게사물 하이라이트 하나도없고 비공갠데 그냥 추천같은데...
-
쌈무나보고가라 2
-
그래도 과외는 얼마를 줘도 자신이 하나도 없음 (수능은 만점) 사탐 과목은 관련...
-
학평인데 기하가 미적 표점 땄음 만표가 더 높다 역사적인 시험지는 기념해야함
-
사문 일주일 공부하고 모의고사 10번 치면 40점대는 빈번하게 나올듯 근데 결국...
-
중앙대 약대 교과 2025 입결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합격자 계시다면 중앙대식...
-
열등감 덩어리라 슬프네
-
예를 들어서 담화표지를 사용하여 문단간의 연결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게 선지면...
-
Official HIGE DANdism- Parabola(포물선)
-
돌돌물 0
돌고 돌아 물리로
-
치돈 시켰는디 1
개맛있어어
-
국수영탐 과목별로 어느정도 되어야 과외할 수 있을까요 5
그래도 암묵적인 컷이 존재하는 법이니까요 고2~고3 기준으로 했을때요
-
아…
-
이거 클까요
-
내가 수능장에서 진짜로 말아먹은거라면? 사실은 1등급 나올 실력이 맞다면? 어쩌면...
-
탐구가 성적 제일낮았음
-
지금 기상했다 10
으어어
-
그릭요거트 2
아무것도 안뿌렸는데 맛있네 이거먹으면서 다이어트할까
-
6모에 N수 얼마나침? 9모에 얼마나침? 수능엔 얼마나침? 이거 알아야 탐구 사탐런 예상이돨거같은데
-
옯붕이 부산왔다.jpg 19
캬캬
-
볼만한 웹툰 추천 좀 20
장르 불문 아무거나 다 ㄱㅊ
-
너가 재수도 했으니 뭔 말이라도 하라고 하시는데 쩝... 예비고3 사촌동생은...
-
후다세요? 2
네???
-
개념서 있나요?
-
수학 기출 풀때 0
잘풀리면 뭔가 문제 낭비하는 기분이고 안풀리면 하기싫어짐
-
??
-
하면 되는 건가요? 아마도 2월 중순에 추합으로 붙을 거 같은데 지금 미리 자퇴하는...
-
작년에 솔직히 공부 좀 덜한거 같기는 한데 2에서 올라 갈 수가 없는데,,,, 맨날...
-
반수 고민 0
2024수능(백분위) 국어 83 수학 80 영어2 생1 (84) 지1 (81)...
-
본인특 1
순도 100% 똥글임
-
아으뇌아프다 0
-
나 아직도 출발 안 함 친구 이제 배그 끝났다고 함
-
지능 끈기 베이스 체력 건강 등등 모두 고려했을 때 1
나는 수험생 50% 수준인듯
-
군수질문 0
군대 시스템을 잘 몰라서.. 수능날에 휴가 낸다고 하면 되는건가요? 일병짬에...
-
첫 풀이 2000덕 드리겠습니다! (+자작 아닙니당)
-
뻘글 써도 되나 8
음 제 프로필을 누르는 것만으로 깨끗한 칼럼 모음집을 볼 수 있도록 그렇게 하고...
-
평균 6등급인데 과탐 지1 생1임 생1은 너무 재미없고 힘든데 지1은 할만함 사탐은 그냥 하기 싫음
-
라는 말을 2달전부터 하고있다.
-
고추털 아니라고 문의 보냈는데 지금 연휴냐.??
-
사촌동생 수2 시급 딸기한접시 받아먹고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
스토리 및 게시물 업데이트 안 보기 방금 처음 써봄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지문인식이 안되는데 ㅅㅂ 왜 안되는거야
-
07 인원수도 많고 은근히 애들 사탐런 안하던데 제 목표가 너무컸나보네여
-
금공강 0
나는 금공강을 원한다 수강신청 제바알
-
ㄷㅈ? ㄷㅎ?
-
그래야 문학론이랑 피램할듯 문학 노베랍시고 기출은 거의 안본것같은데 문학이 급하긴하네
-
촌동네라 좀 널널할 줄 알았는데
-
강k 더프 평가원 수능 통틀어서 말이죠.. 조금 아쉽군요
[천체특강 1]
https://orbi.kr/00029960375
[천체특강 2]
https://orbi.kr/00031706306
[천체특강 3]
https://orbi.kr/00031840176
[천체특강 4]
https://orbi.kr/00031852333
[천체특강 5]
https://orbi.kr/00031921283
[천체특강 6]
https://orbi.kr/00031940414
[천체특강 7]
https://orbi.kr/00032049247
감사합니다ㅏ
선생님 근데 외부은하 파트에서 '나선은하가 진화하면 타원은하가 된다'라는 선지요.
항상 헷갈리지도 않는데 나오는 걸 보면 내포된 의미가 있나 싶은데 맞나요?
나선은하가 충돌하면 타원은하가 될 수 있긴 해요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