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나 아베 노부유키는 다시 돌아 올 것이다."
1차출처 엽혹진
2차출처 오늘의 유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꼭 듣고싶어요 ㅜㅡㅜ
-
기부니가 좋네요
-
진짜 고트네
-
정시 현역으로 대학을 간 사람이랑 N수해서 대학을 간 사람이랑 똑같이 같은 급간의...
-
점공 내 위에 있다가 사라진놈만 두세명인데 이새끼들은 뭐지..
-
ㅇㅈ합니다
-
국민 평균 이상인것만으로도 대단한거임
-
10시부터 기다렸어
-
서울대학교에가면 2
심리학과랑 통계학과를 복전하고싶음 오래된 꿈이다
-
ㅠㅠ
-
어라 7
.
-
인천vs상명 0
둘 다 기숙사 둘 다 인문계열, 일단 어딜가든 공대 전과생각있음 인천대 - 국립대,...
-
이3끼들 휴학하니까 과외 쓸어담아감 생태계 교란종임
-
[고병훈] 함숫값과 거리의 곱에 관해 알아봅시다^^ 0
안녕하세요? 수학강사 고병훈입니다. 오늘은 수학2에서 함숫값과 거리의 곱에 관한...
-
영하에 밖에 걸어다니면 10분안에 붓기 다빠짐
-
세상은 미국과 비미국으로 나뉨
-
한의대가 망해도 나는 고려대생이다어쩌구저쩌구..
-
고생 많으셨습니다
-
내 스타일이 아니엇음
-
나는야마법사 0
-
기 받아 가시길…. 좋아요를 누르면 합격 확률이 올라갑니다…?
-
제가 너무 급해서 그런데 영단어 암기법좀 알려주새요 6
제가 서율대 수리과학부를 들어가야하는데 지금 수능이 9개워ㄹ 남았어요 영단어...
-
서성한 가는것보다 고려대 가기 쉬운데 위치도 시골이고
-
인구가 80억인데 한 명은 잇지 않을까
-
23 25때 성불햇을거 (국어쉬운메타) 짝수해만 제대로 준비하는 것도 레전드다
-
29명뽑는거고 예비 48번 받았는데 아예 가망 없는거죠 ㅠㅠ
-
경희대 새내기 애들은 서성한 부러워함 근데 서성한 애들은 스카이 부러워하고 이제...
-
976.0과 975.5는 붙는 점수 인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
저 몇살로 보이시나요 13
생각보다 잘못 알고계시는분이 많은듯…
-
화수가 너무 적어서 공개안함...근데 진짜좆됨..
-
100퍼 주작이죠??? ㅋㅋ
-
평소에 나랑 비슷하게 뻘글 쓰고 그래서 동급이라고 생각했다가도 알고보면 현실에서는...
-
너무 기분나빠하지마세요 전통놀이같은거니까
-
다 잊어 버리면 이제 난 어떡해난너만을. 사랑했는데. 넌씨발련이야 아이야~...
-
ㅈㄱㄴ
-
3일만에 268점 받을 수 있을까요? 수능때는 3등급이었습니다
-
정시 합격하면 합격 페이지에 장학금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도 나오나요?
-
본인 설대 지균 1학년 때부터 거의 확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모두가 그럴거라고...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10000?
-
신청은 했는데
-
1년 남았다구요
-
현역 성적은 84 88 85 48 35이고 부끄럽지만 재수 연고~수의대를 노리고...
-
진짜 몰라서 물음
-
힘숨찐같아서 뭔가 좋음
-
강제재수.. 0
하나는 붙겠지하고 554 썼는데 3광탈 예정이라.. 재수할 생각 절대 없고 의지도...
일본은 극의 긴장감을 위해 소설로 각색을 하긴 하지만 역사의 특정 인물의 포인트만큼은 만화책이나 사극을 통해 재밌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우리나라는 흥미 유발요소가 좀 부족해서 그저 딱딱하고 양많은 학문으로밖에 안보이는거죠.
그러니까 사극에서 사랑떡밥좀 줄이자고 좀 ㅡㅡ
예전 KBS 대하드라마 사극들은 좋았는데...ㅠㅠ
저의 경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라는 게임 덕분에 중학교때 국사랑 사회점수가 60대에서 만점에서 1개틀리는정도로 올랐죠. 정말 흥미가 중요해요.
반갑습니다. 대항해시대3로 세계사 만점 받았습니다. 흐흐
뭐 그런거 있잖아요
미드는 의사가 나오면 진료를 하고
일드는 의사가 나오면 교훈을 주고
한국드라마는 의사가 나오면 사랑을 한다
요새 다 말랑말랑한 사극만 좋아하는터라 어쩔수 없죠
어차피 역사는 드라마가 아니라 역사책에서 공부해야하기 때문에..
솔직히 말하자면 국사, 특히 근현대사를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있지요.
벌써 교과서 가지고 장난질하는 기사들 보면 답이 나오죠.
일본도 표에는 저렇게 나오지만, 우리와 별 차이가 없음.
우리나 일본이나 '그분들'의 입김이 유효하게 반영되고 있다는 생각이예요.
정권 바뀌면 사정이 나아지려나..하긴 7차 수능도 민주당정권때 도입되었는데 학습부담 줄인다는 명목으로 엉뚱하게 국사까지 쳐내버린 결과를 가져다 줬다는게 에러지만..
어쨌든 수능에 국사, 특히 근현대사부분은 절대적으로 반영해야한다고 봅니다.
나라가 걱정이네요...참
역사라는 건 결국 현재에 의한 과거의 재해석입니다. 단순한 사료의 나열은 그다지 의미가 없구요. 역사를 제대로 배운다는건 결국 역사관을 제대로 배운다는것....그런데 그 역사관은 결국 가치관이며 이념관입니다. 솔직히 위에서 뭐 고려 다음 조선 이런거 모른다고 무식하다고 하는데, 결과적으로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이행이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아는게 더 의미있는 접근이겠죠. 고려 왕들 계보 달달 외우는 사람들보다....
밀라노칙령이 472년에 있었다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로마 제국이 왜 변해갔는지, 왜 로마가 크리스트교를 받아들이고자 했는지를 아는게 훨씬 의미있는 거죠. 개인적으로 우리 윗세대는 훨씬더 가혹하게 세계사를 배웠지만 그분들이 진짜 '역사' 공부를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무작정 역사상의 fact만 외우는거.....그건 큰 의미가 없는 거에요. 그저 역사상식이랄까요? 과거로부터 현재를 다시금 판단하게 만드는 역사가 아니라.
결국 의미있는 역사의 접근법은 현재에 대한 과거의 재해석이자 과거를 통한 현재의 해석이 됩니다. 결국 모두 현재라는 개념이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역사공부는 대단히 급진적인 학문이 될 수 있어요. 독일의 어떤 역사학자가 '모든 제대로된 역사학자는 급진 좌파일수밖에 없다' 고 했던 것처럼.
예를 들면 박정희의 개발독재를 긍정적으로 묘사한 사관은 2012년의 박근혜를 긍정하게 만들 수 있고, 반대의 경우는 또한 반대의 결과를 불러일으키게 되죠. 장기적으로 봤을때 왕권시대-자본주의 시대로 이어지는 기나긴 역사를 보면서 사회의 '지고한 규율' 이라는게 고정된게 아닌 가변적이라는 걸 깨닫게 되고, 역사는 발전하기에 사회를 끊임없이 더 낫게 만들려고 노력해야 된다는 '진보적인' 마인드를 가지기도 쉽구요. 뭐 무조건 역사학은 진보적이 된다는 주장은 아닙니다만 최소한 많은 경우에 역사 공부는 고정된 권력이란 건 철벽 같지만 역사상 수많은 그러한 권력들이 무너져왔다는 걸 알려주고, 장엄한 역사 안에서 현재는 발전 과정일 뿐일 수 있다는 걸 알려주기에 진보적이기 쉽죠.
'역사를 모르는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 는 말은 어찌보면 당연한 겁니다. 역사학은 애초에 현재에 의한 과거의 재해석이고, 그걸 통해 과거를 통한 현재의 재조명을 하게 되죠. 결국 끊임없이 현재를 통찰하게 만듭니다. 이건 많은 부패한 국가에서 정부가 원하지 않는 일이죠. 물론 이전처럼 극단적인 왜곡 사관을 통해 오히려 사람들의 역사관을 뒤틀게 만들 수도 있겠지만, 군사독재시기가 아닌 지금 정도의 상황에서는 그런 무모한 왜곡보다는 차라리 사람들이 무관심하게 만드는게 더 편한 일일 겁니다.
좋은글에 죽댓 죄송하지만 밀라노칙령 313년...
나머지 내용이 너무 공감되서 쓸까말까 고민하다 댓글 답니다.
틀린 내용은 고쳐줘야 됩니다 ㅎ 감사합니다. 찾아보기 귀찮아서 ㅋㅋ
학생때 공부 안하다가 취업 할 때 한국사 자격셤 공부하면 아주 죽을 맛일듯..-.-
일단 역사 과목 내에 살짝 남아있는 민족주의적 요소를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일제강점기를 너무 수탈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거나, 간도를 조선 땅으로 주장하거나 하는 내용들 말이죠.
아베 노부유키가 정말 저런말 했어요?
할복시도 하던 놈인데;
우리나라처럼 국사교육이 중요한 나라도 없을 것같은데 참 문제지요.
중국은 동북공정하고, 일본도 역사왜곡하고..
sky에서 설문조사해도 반도 모를듯